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26

- 산수유 나무 산수유 꽃 산수유 열매 효능 - 남자한테 참 좋은데... 산수유 나무 산수유 꽃 산수유 열매 - 남자한테 참 좋은데...식물계>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산형목>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 나무는 봄에는 노오란 꽃을 피우고, 가을에는 산수유 열매가 붉게 익어간다.https://free45.tistory.com/135 2017. 11. 15.
바나나 파초 차이점. 구별방법 소위 대프리카라고 불리는 대구의 폭염은 모든 더위의 무용담을 가능하다고 느끼게 할 정도다. 실제로 필자는 20년전까지 대구에서 군생활을 했고, 방공포병학교 나이키 발사대 조교로 생활하면서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의 철판 위에 알루미늄호일을 깔고 그 위에 계란을 깨 익힌 계란후라이의 맛을 보았다. 그정도로 더위의 고장인 대구에 최근 바나나가 열렸다는 소식이 널리 퍼졌다. 사진에서도 바나나의 열매 송이처럼 열려있었다. 그렇지만, 사진을 좀더 유심히 보자 금새 사진속의 식물은 바나나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동남아 지역으로 여행을 가서 실제 바나나 열매가 메달린 바나나 꽃을 본 사람이라면 대구의 가정집에 열린 열매의 식물은 바나나가 아님은 학실히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아니 해외에 나가보지 않았더라도 단골처럼 .. 2017. 6. 27.
암수한그루 - 소나무 꽃 암꽃:수꽃/해송:육송 꽃 구별방법 - 꽃가루 식용식물 송화가루 효능 꽃말. 전나무 소나무 잣나무 구별법 소나무 :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 소나무 분포지: 한국,중국북동부, 일본 이명: 솔, 솔나무, 소오리나무, 松, pine tree 소나무 꽃말: 불로장수 소나무는 35m까지 자라며, 사시사철 푸른 나무이다. 소나무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 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 암꽃은 새 가지의 끝에 달림. 소나무 꽃의 꽃가루가 봄에 많이 날릴 때 노란색의 꽃가루가 바람에 날리며, 물이 고인데에 노랗게 떠다니는 것이 소나무 꽃가루이다. 송화가루라고도 불리며, 송기떡이나, 다식 과자를 만들 때도 쓰임. 송화가루의 채취는 수꽃이 피기 전에 송화를 따서 말린 뒤 화분 가루를 채취함. 송화가루 효능.보통 봄철이면 소나무 꽃가루 알레르기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이 많지만, 의외로 송.. 2017. 6. 19.
라디오스타 심형탁 새 넓적부리황새 세상에서 가장 큰 새 슈빌 라디오스타 심형탁 새 넓적부리황새 세상에서 가장 큰 새 슈빌 2016. 11. 23.
[ 호두나무 꽃 (수꽃), 열매 ] 암수 한나무 추자나무 호두나무꽃: 낙엽활엽교목 원산지: 중국 이명: 추자나무 20m까지 자라며, 익히 잘 아는 호두가 열리는 나무임. 암수꽃이 한 나무에서 피는 일가화로 4~5월에 개화. 9~10월에 성숙, 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핵은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임.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며, 나무 껍질에서 타닌을 채취함. 열매는 단백질이 풍부한 고급 식품으로 수익성이 높은 경제조림수종. 수꽃은 길게 늘어지는 꽃을 피우며, 밤꽃하고 혼동하기 쉬우나, 밤꽃은 좀더 하얀 색을 띄며, 호두나무의 나뭇잎은 밤나무 잎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고, 부드러우며, 광택이 덜함. 풍매화(수분이 꽃가루를 바람에 날려 이룸) 위는 수꽃 아래는 암꽃(출처 네이버 카페:훈련교수회) 2016. 6. 20.
홍자귀 칼리안드라 헤마토세팔라 알바(Calliandra haematocephala alba) in 오키나와 류큐무라 자귀모 보다 풍성한 칼리안드라 헤마토세팔라 알바 분류 : 장미목 - 콩과(Fabaceae) - 미모사아과(Mimosoideae) 상록관목 아명: 홍자귀 영문명: Calliandra haematocephala 꽃말 : 칼리안드라 헤마토세팔라의 꽃말은 따로 없으나, 그 자체로 아름다운 수술이라는 별칭이 대변한다. 높이:180~240cm 개화시기 : 여름 원산지 및 자생지: 남아메리카 볼리비아 식용여부 : / 약용 효능 : / 생태 환경 : 오키나와 류큐무라에서 찍어온 사진이예요. 꽃이 너무 특이하고 풍성해보여서 찍어왔는데, 사진을 찍을 당시에는 이름을 몰랐답니다. 찾아보니, 칼라인드라 헤마토세팔라라는 학명으로만 알려져 있고, 아명으로 홍자귀라고 부르기도 하고 하와이안자귀라고 부르기도 하더군요. 칼리안드라 헤.. 2016.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