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무원52

공무원 봉급표 15년 대비 16년 공무원 봉급인상 비교용 16년 병신년이 2일 남았습니다. 병신년이라니까 마치 욕같군요. 얼마 전에 구글에서 음란단어 금칙어를 설정해서 구글코리아에서만 강제 적용한다고 밝혔는데요. 국내 검색엔진들도 금지된 검색어들이 있는 지 모르겠군요. 그 중에 병신년은 꼭 끼어 있을 것 같은데, 괜히 병신년 때문에 이 글이 검색에서 제외될까 봐 그 걱정이 앞서는군요. 아무튼 연말입니다. 연말에는 지난 한해를 되돌아 보고 정리하는 미풍양속이 있죠^^; 저도 제 블로그에서 15년 한 해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주제에 대해서 정리 해볼까 합니다. 15년에 제 블로그에서 가장 많은 분들이 방문해 준 검색어가 2015 공무원 봉급표였습니다. 희안하게도 하고 많은 글 중에서 2015 공무원 봉급표 검색이 많았던 이유가 뭘까요? 15년에는 공무원 연금법 .. 2016. 11. 18.
시설관리직 공무원 시험과목, 서울시 시방직 연봉 월급 ✔ 군대에서 땡보직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차피 같은 군생활을 하는데,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군생활을 할 수 있는 보직생활을 땡보직이라고 하죠. 비슷한 비유는 아니겠지만, 많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인기직렬만 지원을 합니다. 인기 없는 경쟁률 낮은 직렬 공무원도 어차피 연봉이나 복지수당이 같은데요. (물론, 비전이라든지 승진도 고려하겠지만요) 시설관리9급공무원의 경우에는 시험과목도 영어시험이 없습니다. 아직 인지도가 없기에 경쟁률도 현재는 많은 분들의 지원이 많지는 않아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최근 공무원 아파트, 공공기관, 전기시설, 서울시 지방 시설관리직 공무원 등 많은 채용이 늘고 있어요. 군인아파트 및 공무원아파트 등 이렇게 신축되는 공공기관이나 공무원 아파트 등의 시설을 관리하는 분들도 늘.. 2016. 10. 11.
✔ 공무원여비규정 공무원 여비규정입니다. [시행 2016.1.25.] [대통령령 제26659호, 2015.11.20., 타법개정] 2016. 9. 21.
공무원 종류 별 2016 공무원 봉급표 군인 월급, 공안직공무원 급여표, 교사, 연구직공무원 급여표, 전문경력관, 우정직, 기능직, 계리직공무원 보수표 2016 공무원 호봉표- 공무원 월급표 벌써 2016년도 이제 불과 3달 남짓 남았군요.오늘 제 블로그의 글 제목들을 살펴보다가, 작년 초부터 2016년 소방 공무원 봉급표, 경찰 공무원 봉급표, 교육 공무원 봉급표, 직업군인 월급까지 올렸는데, 하나로 정리를 해둔 글이 별로 없더군요.해서 이 번 글에는 일반직 2016년 공무원 봉급표 뿐만 아니라, 공무원 종류 별 봉급표를 모두 한꺼번에 올려두려고 합니다.공무원 종류가 다양하니까, 당연히 2016 공무원 봉급표도 많겠죠?2016년 공무원 봉급은 2015년에 비해 3프로 인상되었습니다. 참고로 2017 공무원 봉급인상률은 3.5%입니다.조만간 2017 공무원 봉급표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공무원인 동생의 급여명세서를 보니 안습이더군요.물론 공무원들은 박봉이라고 합니다만 안정적이고 일도 적응되면 .. 2016. 9. 20.
2016 간호직 공무원 경쟁률, 8급 간호공무원 시험 과목, 일정 with 간호사국가고시 제 아내는 모 대학병원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데요.3교대 근무를 너무 힘들어 하더군요.그래서 한 때 보건교사를 준비할까 마음을 먹기도 하던데, 공부하는 걸 싫어라 해서 포기했더군요. ^^;그런데 보건교사 준비를 할 때 알아보니, 공무원 중에도 간호직공무원이 있더군요.간호직공무원은 시,군의 보건소에서 간호업무를 보는 공무원입니다.아시다시피 보건소는 야간진료를 한다거나, 입원을 하진 않죠? 그러니 업무시간에만 일을 하는 훌륭한 직렬입니다.물론, 지금 제 아내는 거의 수간호사 급이라, 8급 간호공무원으로 전직을 하기에는 지금 위치의 커리어가 아깝긴해서 포기했지만요.일찌감치 간호공무원을 노리는 분들은 3교대로 피곤한 대학병원 간호직 보다는 몸과 마음이 편할 것 같네요.간호직공무원은 일반공무원과 달리 8급부터 시작.. 2016. 9. 13.
공무원 휴가규정 공무원 연가일수 ✔ 제 3 장 휴 가 제17조(휴가의 종류) 공무원의 휴가는 연가, 병가, 공가 및 특별휴가로 구분한다. 제18조(연가일수) ①공무원의 재직기간별 공무원 연가일수는 다음과 같다. 재 직 기 간 연 가 일 수 3월이상 6월미만 3일 6월이상 1년미만 6일 1년이상 2년미만 9일 2년이상 3년미만 12일 3년이상 4년미만 14일 4년이상 5년미만 17일 5년이상 6년미만 20일 6년이상 21일②제1항의 재직기간이란「공무원 연금법」제23조제1항 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재직기간을 말하되 휴직기간(법령에 의한 의무수행이나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하여 휴직한 경우를 제외한다)· 정직기간 및 직위해제 기간은 제외한다.③해당년도에 결근·휴직·정직 및 직위해제 사실이 없는 공무원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2016. 7. 25.
반응형